읽기

조선후기 鄕村의 地域共同體 문화와 자치적 전통에 관한 연구

zingari.JQ 2019. 3. 7. 16:48

시장경제가 발달하는 조선후기에 향촌이라는 지역공동체 문화로 '도덕경제적 생존윤리'가 자리잡는 과정을 살펴본 논문이다. '공동체'를 생존을 위한 스스로의 보호막인 '거미줄'로 비유한 내 글에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여기에 올려놓는다. 


이명희, 2002, "조선후기 鄕村의 地域共同體 문화와 자치적 전통에 관한 연구", 「한국사상과 문화」, 16: 383~421.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473559

본 논문에서는 전통사회의 상호호혜적, 공동체적인 자치적 생활규범의 고찰을 위해 조선후기를 주목하였다. 이 시기는 향촌 지역내의 공동체적 질서가 해체되지 않고 오히려 시장경제의 발달과 긴밀한 상호연관을 갖는 도덕경제적 생존윤리가 자리잡은 시기이기 때문이다. 

향촌의 일상생활은 넓게는 군, 현 작게는 촌, 리를 범위로 한 지역을 기본단위로 영위되고 있었다. 향촌지역은 같은 종족이 모여 사는 혈연공동체로 이루어진 곳도 있고 각 성씨들로 구성된 지연공동체로 이루어진 곳도 있었다. 이러한 기반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마을에서는 마을의 교육, 산림, 도로, 교량 등 지역공동체단위로 많은 부분을 자치적으로 해결하고 있었다. 미래의 불안한 생존에 대한 보호를 시장기구를 통한 이익추구에서 확보하기 보다는 친척, 친구, 이웃, 손님 등 인간관계에서의 호혜적, 도덕적 신용과 명성으로 확보하고 있었다. 집단이익적 선호도가 개인의 이기적 선호도를 이끌었으며 그 바탕에는 협력 공동체의 도덕성이 관철되고 있다.

조선후기 향촌사회는 지역내의 가족간의 관심과 배려, 이웃과 친족들 사이에서의 ‘봉제사 접빈객’의 호혜행위, 지역단위 부민, 계단위의 재분배, 국가적 재분배 등이 한 개인을 원심원의 방향으로 생존을 보호하는 것으로 그려볼 수 있겠다. 공동체 성원들간의 수평적, 수직적 연계를 통한 결속은 이러한 생존과 공존윤리차원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구성원 사이의 적대감으로 인해 생존에 치명적인 상황으로까지는 전개되지 않았다. ‘물질

 적’ 가치보다는 ‘인간관계’의 도리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공동체적 윤리는 식민지시기, 서구문명의 도입, 근대화과정에서 많은 역사적 질곡을 경험했지만 오늘 한국사회의 정신문화로 형성되었으며 한국인의 심성적 기질로 자리하고 있다고 본다.

#조선후기   #향촌   #도덕경제   #생존윤리   #연계   #호혜   #재분배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