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Better Together(Putnam et al., 2003)

zingari.JQ 2019. 3. 13. 16:45

Putnam, Robert D., Lewis M. Feldstein, 2003, Better Together: Restoring the American Community, Simon & Schuster. 


사회자본의 정의

사람들은 다른 이들과 관계를 맺으며, 신뢰와 이해의 유대를 만들고, 공동체를 구성한다. 우리는 모두 사회자본(사회 네트워크와 호혜성의 규범, 상호 원조, 신뢰가능성)에 관련되어 있다. 개인들이 모여 집단과 사회가 되도록 발전시키는 것이다.


사회자본의 기능

사회자본은 개인적 일보다 집단이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 또한 사람들은 결사체와 공동체의 일원이 되는 그 자체에 만족을 느낀다. 


현대사회에서 사회자본

비슷한 사람들끼리 연대하는 것은 '내부 사회자본 형성(bonding social capital)'으로, 다른 사람들을 포섭하는 것은 '외부 사회자본 연결(bridging social capital)'이라 볼 수 있다. 다원적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전자와 후자 모두 필요하다. 하지만 '내부 사회자본 형성'보다 '외부 사회자본 연결'이 더 어렵다. 비슷한 사람들끼리 모이는 성향을 넘어서야 하기 때문인데, 그래서 사회자본을 발전시키는 데에는 갈등과 논쟁이 수반된다. 


미국 사회에의 적용

20세기 초반까지만해도 미국인들은 서로 결속되고자 하였으나, 1960년대 이후 소속, 주고 받음, 투표, 수다 등이 줄어들었다. 전작 <Bowling Alone>에서 퍼트넘은 비록 미국 내에서 사회성과 시민참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더라도 사회자본 형태가 이전과 다른 모습으로 변화할 것이라는 희망을 내비쳤다. 이 책 <Better Together>에서는 사회 연대가 파괴된다고 여겨지는 중에도 희망적인 여러 특수한 사례들이 있음을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사회 연대가 감소하는 경향이라도, 모든 상황에서 감소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 책은 다양한 사례연구새로운 형태의 사회 자본을 제안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중요한 요소들

첫째, 견고한 사회 자본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시간과 노력(redundancy of contact)'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자본은 대면관계에서 형성되는 '지역적 현상'이다.

언급된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정부의 구체적인 정책이 사회 자본 생성에 필수적이다. 방향을 잘 못 설정한 공공 정책은 사회 자본을 약화시키거나 파괴할 수 있다. '정부의 도움 없이 시민사회 혼자서 공공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은 억지라고 볼 수 있다.

개인적인 이야기(personal narrative)는 자신의 필요를 나타내고 연대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매개체이다. 사람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말하고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을 좋아한다. '내' 이야기는 새로운 접점을 만들고, '우리' 이야기는 그 접점을 유지하게 해준다. 



http://robertdputnam.com/better-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