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읽기

사회적경제의 위치 관련 발췌

zingari.JQ 2020. 11. 20. 20:21

 

드푸르니, 자크, 2008, "공동체와 사회적 경제", 특강 요약, 「산위의 마을」, 18: 63~76, 예수살이공동체, https://www.earticle.net/Article/A337175.

pp. 64~65

먼저 사회적 기업은 무엇보다도 민간 차원에서 시도되었다는 사실입니다. … 여러 가지 형태의 NGO(비정부기구), 사회적 기업, 여러 종류의 협동조합들 중에서도 국가의 통제를 받지 않는 참 의미의 협동조합 등 그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 공동의 목표를 두고 공동체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경제활동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이는 사회적 경제 또한 반드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해야 하는 중요한 경제활동임을 말합니다. …

한국에 와서 … 방문하면서 이 단체들은 이윤추구가 제일의 목표가 아니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한국은 사회적 경제가 아직 초기단계이고 소규모로 이루어지는데, 노동자협동조합, 신용금고, 사회적 기업, NGO 등 제3섹터라고 부를 수 있는 여러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경제를 이루는) 작은 단체들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유럽에서는 이런 [법적] 준비들을 비교적 천천히 준비했습니다. 취약계층을 돕는다던지 전반적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30년 전부터 제도나 틀을 만들어오고 있습니다. …

개도국이나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에서는 구매력이나 소비는 늘었지만, 국가는 돈이 없고 재정적 지원이 안 됩니다. 따라서 공동체를 형성함으로써 그곳에서 국민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충족시켜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p.66~68

… 사회적 경제 안에는 가난한 자들을 위한 발상이 있습니다.

… 가톨릭은 이미 150년 전부터 국가와 개인 사이의 매개적 역할을 하려고 많은 노력을 해왔습니다. 개인들이 자신이 소속된 공동체를 통해 국가 사이에 하나의 매개적 역할을 하면서 사회적 경제의 가치관을 실현하려고 노력해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사회적 경제는 자원봉사가 중심이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하시겠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고 실질적 고용이 존재하는 경제활동이 있어야 함을 알아야 합니다. 유럽의 경우 전체 고용의 5~12 퍼센트가 사회적 경제 분야에서 이루어집니다. 

… 사회환경에 따럿 여러 공동체가 있을 수 있습니다. 

pp. 71~75

… 물론 사회적 기업이 현대나 삼성, 석유분야 등 전문 분야의 기업과 직접적인 경쟁을 할 수는 없지만, 사회적 경쟁의 장점이 있다고 한다면 국가로부터 공공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사회적 기업의 목적이 이윤추구만이 아니기 때문에 그 구성원들에 대해 신뢰를 가진 국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사회적 경제가 성공하려면 경영 리더십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안에서 구성원들과의 연대감, 역동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 틈새시장의 중요성도 강조하고자 합니다. 사회적 기업이 틈새시장을 겨냥하는 것도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형태는 완전한 상품은 아니지만 반(半)상품화하는 것인데, 구입할 때 구성원들이 일부를 지불하고 나머지 일부는 국가가 지불하는 것입니다. 

… 유럽의 경우 이런 공공기관과 국가지원 계약관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지역단위로 코뮌이나 작은 마을단위의 지자체가 필요성을 절감하기 때문에 공동체와 계약관계를 맺어서 이런 일들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 첫 번째 도구로는 사회적 경제를 추진하는 사람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경험을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야 하고 윤리적 경제가 자리를 잡기 위해서 네트워크 형성이 중요합니다. 특히 국가를 설득하기 위해서 아주 필요한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 사회적 경제는 대안경제가 한꺼번에 모든 것의 해결책을 찾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하나의 해결책을 이야기한다는 면에서 다릅니다. … 물론 사회적 경제를 주장하는 이론들이 있긴 하지만 결국 실천할 수 있는 유토피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

(작성 중)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