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zingari.JQ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zingari.JQ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25)
    • 보기 (17)
    • 읽기 (89)
    • 다니기 (21)
    • 쓰기 (22)
    • 일기 (22)
    • 기타 (46)
  • 방명록

분류 전체보기 (225)
과천 풀뿌리 네트워크를 작동시키는 문화적 코드들

쓰기 2018. 5. 16. 22:32
Social Capital and Social Movements

사회적 자본과 사회 운동도입 '사회적 자본'이나 비슷한 용어들에 대한 산발적인 언급은 적어도 192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1990년대 Robert Putnam의 작품으로 대중화되기 전까지 이 개념은 널리 사용되지 못하였다. 2001년 퍼트넘의 책 이 출간되었을 때, 이미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과정의 관점에서 비판이 제기되었다. 사회적 자본이 영향력이 있다지만, 개념화가 명확하지 않으며 어떻게 측정될 수 있는 신뢰도와 유효성도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Foley, Edwards, & Diani 2001). 그 후 몇 년동안 사회적 자본의 개념화를 활용한 학술적 용어는 300권 이상의 책과 6000여 학술 논문의 제목에 등장하면서 폭발적으로 사용이 늘어났다. 최근 논의들은 10여 년전에 표현된 염려..

카테고리 없음 2018. 4. 30. 06:29
Action-Sets & Networks

행동-세트 Action-sets 행동-세트는 한정된 목적을 일시적으로 연합을 결성한 단체들group of organization이다. 이 개념은 social change 연구의 기준으로, 어떠한 지위status보다는 특정한 행위나 행동을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밝힌 인류학자가 주창하였다(Boissevain, 1974; 170~205). 행동-세트 개념은 상호작용하는 조직 그룹을 다룬다면, 반면 조직-세트organization-set 개념은 하나의 초점 조직에 집중한다. 조직-세트 연구의 자기-중심ego-centered 분석보다, 행동-세트는 조직들 전체의 목적 의식적인 행동을 검토한다. 행동-세트는 다른 조직과 비교하여 그들 자신의 내부 노동과 행동 규범을 나누거나, 새로운 구성원을 영입하기 위한 원칙..

카테고리 없음 2018. 4. 30. 02:48
[시민정치 연구] 8 지방 시민사회에 대한 비교사례 연구(이광희, 2004)

읽기 2018. 4. 30. 00:26
[시민정치 연구] 8 Making Democracy Work(Putnam, 1993)

읽기 2018. 4. 30. 00:23
[시민정치 연구] 7 하나의 합리성? 경제적 합리성?

읽기 2018. 4. 30. 00:19
[시민정치 연구] 6 Ethnography for Interpretative Political Science(Rhodes, 2016)

“Ethnography”, R.A.W. Rhodes2016Routledge Handbook of Interpretative Political ScienceMark Bevir and R.A.W. Rohdes(eds.) 소개(논의들)중립적 민족지해석적 민족지분석 도구현장연구, 또는 ‘거기에 있기’참여관찰민족지적 인터뷰논쟁들재현일반화객관성설명성찰성다듬어서 한발짝 나가기양적 그리고 질적깊게 시간보내기와 치고 빠지는 민족지새로운 도구초점 집단시각적 민족지결론 1. 소개 정치인류학정치인류학은 매우 좁은 분야양 쪽에서 부재정치학도 민족지와 관련 없이1996~2005년 정치학회지 2개, 1,000건 조사오직 1건만 데이터 생산을 위한 기술로 민족지와 관련민족지 쪽에서도 정치학 부재민족지의 조사 방법에도 정치학은 들어있..

읽기 2018. 4. 18. 12:03
엄마의 그림책 쌀롱, "어느새, 이미 봄" 콘서트

http://naver.me/G9CFxz0z

기타 2018. 4. 18. 11:43
Displacement in SEOUL

​ http://anthropia.kr/?page_id=240&uid=43&mod=document​ Displacement in SEOUL 2018 미국 문화인류학회 서울 노드 2018년 4월 21일 (토) 13:00 ~ 17:00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세미나실(220동 531호) 서울에서 장소성이 사라지는 현상들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뿌리내린 것들이 엎어지는 서울 곳곳의 현장과 이에 대응하는 움직임에 대해서 함께 이야기를 듣고 고민해보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미국 문화인류학회의 지역 모임으로 대학원생 몇몇이 신청된 것이 선정되어서, 작게나마 자리를 준비하였습니다. 모든 진행은 편하게 한국어로 진행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석 부탁드립니다. "아파트 키즈, 고향과 이별하는 방법" 편집장 이인규 저..

기타 2018. 4. 12. 18:30
[논문 설계 세미나] 5 풀뿌리 공론장 관련 선행 연구들

읽기 2018. 4. 8. 23:39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3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콩밝
  • 정선
  • 아파트 키즈
  • 정주성
  • 인류학대회
  • 위드록
  • 한국문화인류학회
  • How can I help you?
  • 계급의 언어
  • 도시
  • 뿌리내림
  • 사회계층화
  • 쫓겨나지 않을 권리
  • 송학선
  • Kalaallit Nunaat
  • 사회적 이동성
  • 브레드메밀
  • 평창다반사
  • 디스플레이 누런 얼룩
  • Borgen
  • 전통할매식당
  • 칼라알릿 누낫
  • 도자기별
  • 비르기트
  • 인생빵
  • 강원도
  • urban commons
  • 배터리 스웰링
  • 청년
  • 과천
more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