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BARNES, John A., 1951, "History in a Changing Society", Rhodes-Livingstone Journal, 11: 1~9, (https://archive.org/details/rhodes-livingstone-journal_1947_77_11).

 

 

변화하는 사회에서 역사

존 A. 반즈

 

 

 

비문자 사회(non-literate societies)에서는 엄격히 말하자면 역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문서(documents)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히스토그라피(historiography) 의미에서 역사란 본래 현대 문서들의 연구이다. 따라서 문서가 없는 비문자 사회에서는 현재의 조건이 과거의 조건으로 설명되거나 관련지어진다고 주장되는 전설만이 존재할 뿐이다. [2] 문서화가 잘 된 과거를 가진 완전히 문자화된 사회에서는 전설이 다른 형태를 띠며, 전설과 역사를 구분하는 것이 종종 어렵다. 현대 사회에서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많은 전설들이 고대보다는 최근 과거와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비문자 사회에서 문자 사회로 전환 중인 사회에서 어떤 종류의 전설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것들이 어느 정도까지 역사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여러 서구 문화에서 가장 오래된 문서들은 연대기나 법전과 같은 형태로 남아 있다. 이른 시기에 글쓰기는 소수에게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폭넓은 관심을 끄는 사실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아프리카인들이 처음으로 문자 사용을 배우게 되었을 때, 그들은 서로에게 편지를 쓰는 데 이 기술을 사용했다. 이후에야 개인들이 에세이, 역사, 소설을 쓰기 시작하며 방언 문학을 발달시켰다. 이미 유럽 치하에서 나온 방대한 방언 출판물이 나오던 때에 글쓰기를 배우게 된다.

노동 이주로 가족이나 친구들(kinsfolk and friends) 떨어져 지내던 중에, 편지를 쓴다는 가치 있는 행위였다. 연필로 쓴 편지가 지워질 수도 있다는 크게 개의치 않았다. 그러나 가족이나 부족의 연대기를 영구적인 형태로 만드려면, 개인이나 원주민 당국(Native Authorities)이 동원할 수 없는 더 많은 자원이 필요했다.

 

Fort Jameson Ngoni 사람들은 전환기를 겪고 있다. 대부분의 남성과 일부 여성들이 비록 쓰지는 못하더라도 읽을 수 있으니, 이제 이들을 더 이상 비문자 사회라고 부를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사회는 여전히 여러 면에서 비문자 사회처럼 행동한다. 특히, 과거에 대한 정보는 구전으로 전달되며, 법률과 관습은 문서로 기록되지 않는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정보가 조작(manipulated)되는 몇 가지 방식을 논의하고자 한다. 1821~1898년의 전투 이야기―부족의 기원 전설로 간주될 법한―, 같은 시기의 관습적 행동에 대한 믿음, 현재 집단 간 관계 형태를 설명하는 사적인 전설, 최근 사건을 설명하는 문서에서의 역사적 적절함 등을 구분하고자 한다.

 

초기 여행자들은 모두, 여러 Ngoni 집단에 대해 파괴와 약탈을 일삼는 사나운 전사 부족으로 묘사했다. 유럽의 통치가 확산되면서 Ngoni는 습격을 중단했다. 오늘날, 주로 여성과 아이들이 거주하는 마을들, 빈약한 가축들과 황폐한 밭만 보이는 이곳에서, 군사적 전통의 흔적을 찾으려면 겨우 카키색 외투와 군복 정도일 뿐이다. Fort Jameson 집단에는 ―다른 지역은 차치하고라도― 거대한 소가죽 방패를 들고 출전하던 부대들은 사라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술 취한 파티에서 불리는 노래에도, 아이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에도, 그리고 호의를 가진 낯선 이들에게 간청하며 이야기할 때도, 과거의 전투는 여전히 기억되며 떠올린다.

노래 대부분은 잊혀져가는 옛 Ngoni 언어로 불리지만,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조차 구체적인 의미를 설명하진 못한다. 앵무새가 그러듯이, 그저 익혀놓은 과거의 잔존(relics) 뿐이다. 노래를 부르는 맥락에서 구체적인 해석은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면 우리 문화에서도 'Green Grow the Rashes, O'를 부르는데 'April Rainers'가 누구인지 꼭 알 필요가 없듯이 말이다.

산문 형식의 이야기들은 일상 언어로 전해진다. 화자가 아는 인물들의 군사적 업적, 또는 최고 추장(Paramount Chief)의 명령으로 부관들이 수행하던 습격 준비 같은 이야기한다. 가장 자주 회상되는 이야기는 1898년에 벌어진 Ngoni와 영국 군대 간의 전투이다. 당시 전투를 기억하거나 실제로 참여했던 사람들이 아직 많이 살아 있었다. Ngoni의 패배 이후, 극적인 변화들이 닥쳐 왔다. 하지만 당시 사용했던 독특한 무기들은 이 전투를 특별히 기억할 만한 것으로 만들어낸다. 이들이 인정된 패배는 이것이 유일하고, 다른 이야기들은 모두 승리했다고만 이야기한다. Ngoni는 Bemba, Wisa, Cewa, Kunda 등을 물리쳤다.

 

당시 여행자들의 기록에 따르면, Ngoni는 이웃 부족들에게 대부분 성공했지만, 항상 그랬던 아니다. 기록에 따르면, 때로는 Cewa 부족이 Ngoni를 습격하고 포로를 잡아가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전설의 형태(form taken by these legends)는 대부분의 문화에서 발견되는 과정으로, '승리는 기억하고 패배는 잊는다'는 방식의 결과라고 있다.

이러한 왜곡은 단순히 패배를 제거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행정당국과 선교사들은 일반적으로 부족 간 협력을 장려해왔고, 모든 부족을 동등하게 대우했다. 그들은 전쟁보다는 평화의 가치를 강조했으며, 이교도 의식을 비난했다. 이러한 교육의 영향으로 전설은 현대적 가치관에 부합하도록 수정되었다. 습격의 야만성은 축소되었고, 옛 군사 규율의 훌륭한 면은 강조되었다.

때때로 사람들은 '과거의 군대가 싸운 적이 없고 단지 춤만 추었다'고 말하거나, '다른 부족의 사람들이 포로로 잡힌 것이 아니라 스스로 Ngoni에 자발적으로 합류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실제로 일부는 그러기도 했다). 또한 조상 숭배는 전혀 없었고, 최고 추장의 조상들의 이름은 단지 기도에서 언급되었을 뿐이라며, King George의 이름이 언급되는 거랑 같다고 말한다.

과거의 Ngoni 정복자들을 오늘날의 유럽 정복자들과 비슷해 보이도록 만드는 과정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Ngoni는 유럽인이 자신들의 모계 이웃 부족들과 동일시되기 훨씬 전부터 이미 유럽인들과 자신들을 동일시했다. 실제로 Wiese―그들 패배의 주요 원인이 되었던 인물―는 이렇게 기록했다. “그들은 매우 자부심이 강하고, 다른 모든 부족들을 멸시하며, 유럽 여행자에게 백인은 자신들과 연관될 수 있다고 확신을 보이는 것이 큰 예의라고 생각한다”.[4]

1896년, 남쪽에서 온 또 다른 여행자는 Ngoni 지역 외곽에서 무장 순찰대에 맞닥뜨렸다. 짐을 옮겨주던 이들은 도망쳤지만, 그는 줄루(Zulu) 말로 순찰대에게 자신이 최고 추장의 친구라고 외쳤다. 그러자 순찰대는 “Ngoni이자 백인이네”라고 말했다.[5] 내 정보 제공자들도 옛날 Ngoni 언어가 Nyanja보다는 영어에 더 가깝다고 말한 적이 있다.

 

현대의 관점에서 과거를 재해석해도 일관된 원형 유럽(proto-European) 사회의 모습을 만들어내지는 못했다. 현재의 불일치들은 여전히 존재하며, 과거에 대한 양가적 태도를 통해 반영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사람들이 과거가 모두 질서 정연하고 평화로웠다고 회상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최고 추장의 무제한적인 권력과 그의 전사들의 사나움에 대해 이야기한다.

한 귀족 계급의 남성이 맥주 파티에서 나에게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만약 옛날이었다면, 여기 모든 Cewa 사람들을 죽였을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 대부분이 보통 전달하려고 하는 일반적인 인상은 '규율 있고 자부심이 강하며 성공적인 사람들'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모습은 Ngoni 자신들뿐만 아니라 유럽인들에 의해서도 받아들여지고 있다. 우리에게 아프리카인들은 여전히 미소 짓고 자연의 신사(nature's gentlemen)로 여겨지는데, 이는 '좋았던 옛 시절(good old days)' 한 때이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Ngoni에 대한 이미지는 현대 백인의 가치관에 덜 얽매여 있다. 왜냐하면 현재의 백인들과 당시의 흑인들 간의 구분이 오히려 이 이미지를 더욱 매력적으로 돋보이게 하기 때문이다. 조상 숭배와 일부다처제는 흑인의 이상향(Black Arcadia)에서는 그리 환영받지 못하는 일이 아니다.

 

오늘날 Ngoni 사람들은 자신들을 유럽인과 인도계 이웃들과 비교하며, 그들이 가진 명백한 권력과 부를 부러워한다. 이들은 과거를 통해 자신들의 상대적 실패를 합리화하려고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1898년의 패배는 중요한 이유가 된다. Ngoni는 자신들이 모든 아프리카 이웃 부족들을 정복했다고 주장하지만, 영국에 대해서만큼은 성공을 주장하지 않는다.

대신, 영국에 의해 패배했다는 사실은 오늘날의 모든 실패와 전통 관행에서 벗어난 것들이란 설명으로 사용된다. Ngoni는 말한다. "우리가 패배하지 않았다면, 우리의 땅을 잃지 않았을 것이고 지금처럼 굶주리지 않았을 것이다" 또는 “우리가 패배하지 않았다면, 다른 부족들이 섞이지 않았을 것이고, 우리의 관습을 제대로 따를 수 있었을 것이다" 등등.

과거 Ngoni에게 포로로 잡힌 사람들이 빠르게 Ngoni의 방식에 동화되어 자랑스러운 Ngoni가 되었겠지만, 이제 Ngoni는 유럽인들에 의해 정복되었음에도 그들은 결코 유럽인이 되지 못한다고 불평한다.

 

이러한 개념들에서 유래된 과거에 대한 대략적인 전설들은 이제 널리 알려진 상식이다. 대부분 구전을 통해 전해지며, 학교에서 부족 역사를 가르치면서, Northern Rhodesia Regiment 병사 모집에 옛 군사 전통을 호소하면서, 농장주들이 한 부족을 다른 부족의 노동자들과 비교해서 말하면서, 유지되고(maintained) 있다. 행정가의 보고서와 민족학자의 글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오늘날의 Ngoni 그리고 찬란했던 조상들 간의 연결고리는 최고 추장의 직위로 상징화된다. 최고 추장은 그의 전사였던 증조부의 이름을 이어받으며, 그의 사람들과 공식적인 관계는 조상들의 업적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는 '이미 모든 사람을 정복했기' 때문에 장례식에 참석할 수 없으며, 자신의 결혼식 중 일부에도 참여할 수 없다. 그는 '이미 전 세계를 정복했기' 때문에 지역 관리자와 함께 덤불 사이를 걸어 다닐 없다.

그의 증조부가 지녔던 무적의 위대함 속에서 영광을 누리며, 이 맥락에서는 1898년의 패배가 잊혀진다. 최고 추장과 11명의 소추장들 간의 관계는 유럽 정복 이전에 왕족 혈통의 여러 분파들 사이에 이루어진 권력 분배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되며, 나라가 이러한 소추장들의 영역으로 나뉘어 있는 것은 이러한 권력 분배를 상기시키는 눈에 보이는 증거이다.

 

이러한 군사적 업적 그리고 왕권에 관한 이야기들과 관련된 걸로, 옛 관습들에 관한 신화가 있다. Ngoni 사람들은 과거에 특정한 방식으로 사냥하거나 결혼하거나 마을을 세웠으나, 이제는 다르게 하고 있다고 말한다. 내가 특정 상황에서 무엇이 일어났는지 물었을 때, 대개 정보 제공자는 자신이 지금 본 것이 아니라 1898년 이전에 일어났다고 여기는 걸로 이야기하곤 했다.

예를 들어 Ngoni 사람들이 결혼 시 어떤 지불을 하는지 묻는다면, 두 가지 지불 방식이 있다고 말한다. 하나는 '코담배 상자(snuff-box)', 다른 하나는 한 마리 이상의 가축으로 된 신부지참금(bridewealth)이다. 그러나 더 깊이 조사해 보면, 이러한 지불은 오늘날에는 드문 일이며, 1898년 이전 이야기라는 알 수 있다. 더욱 상세한 조사를 통해 확인한 결과, 1898년 이전에도 여러 결혼에서 이러한 지불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항상 가축은 아니었다.

Ngoni 사람들은 이러한 사실을 부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는 '지금과 관련 없다'고 주장한다. Ngoni의 결혼 방식은 이 두 가지 대가를 치르는 거라며, 이 과정만이 그들의 형용사(vernacular adjective) 'cingoni'를 쓸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더 이상 이러한 방식으로 결혼하지 않는 걸 안타까워하며, 그 책임을 유럽인들에게 돌린다. 여전히 독특한 문화적 유산이라고 여겨지는 것이다.

 

예상할 수 있듯이, Ngoni 사람들에게 이러한 개념들은 행동의 강제적인 기준이나 그들이 지향해야 할 이상적인 모델을 제공하지 않는다. 봐온 것처럼 이러한 개념들은 어떤 상황을 설명하거나 정당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직접적으로 행동을 규제하지는 않는다.

전통적인 관습에서 벗어났다고 개인이 반드시 비난받는 것도 아니다. 사실 과거의 영광에 대해 잘 알고 있다 해도, 전통을 잘 모르는 이들보다 전통적인 방식을 따르지 않는 경우도 많다. 전통에 따르면 Ngoni는 부계 거주(virilocal)를 따르는 걸로 알려져 있으나, 남자가 아내의 친척들과 함께 산다고 해도 친족들이 부계 거주 전통을 말하며 그를 되돌아오게 강요할 수는 없다.

전통적으로 남자는 장모를 피해야 한다고 알려져있다. 하지만 나는 언젠가 전통 역사에 권위 있는 귀족 남성이 휴가를 보낼 때 베란다에 장모와 나란히 앉아 담소를 나누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남자는 장모를 피해한다면서요?"라고 내가 묻자, 그는 웃으며 이렇게 대답했다. "맞아요, 그래서 그렇게 해야죠. 이런 행동은 정말 부끄럽습니다. 제가 여기에 영구적으로 살게 되면, 관습이 제대로 지켜지도록 할 겁니다".

 

특정 상황에서 Fort Jameson Ngoni는 다른 부족들과 대조되는 하나의 부족으로 나타난다. 이 부족은 자체적인 추장과 영토, 때로는 자체적인 행정 관리자를 가진 행정 단위이다. 해당 지역의 각 부족 대표들은 토착민 도시 법원(Native Urban Court)와 지역 자문위원회(Provincial Advisory Council)을 구성할 때 함께 모인다. Ngoni 대표들은 이러한 기구에서 종종 동료들과 대조되는 고유한 Ngoni 관점을 제시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유언장에 대한 논의가 있을 때, Ngoni의 관점, Cewa의 관점 등이 제시된다. Ngoni 대표는 신부지참금(bridewealth), 부계 거주(virilocal residence), 장남의 권리(rights of the eldest son) 같은 옛 이야기를 반복하며, 이는 해당 사안에서 Ngoni 관습으로 기록된다. 명백히 현대적인 문제인 유언장에 대해 논의할 때조차, 과거의 신화적 시대로 돌아가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나 신화적으로나, Ngoni는 이러한 과거를 통해 이웃 부족들과 구분된다.

현재 시점에서는, 유럽인과는 달리, Ngoni와 Cewa는 크게 다를 바가 없다. Ngoni가 신부지참금을 지불하는 것은 영국인이 로스트 비프를 먹는 것과 같다. 이는 하나의 민족적 특징일 뿐이며, 사람들의 마음속에 남아 있는 것이지 그들의 행동이나 열망에서 눈에 띄게 관찰되지는 않는다. 이웃 부족들이 흉터나 토템 관행으로 자신들을 구분하는 것과는 달리, Ngoni는 독특한 관습을 통해 부족 정체성을 표현한다. 하지만 이 관습을 반드시 따라야 할 필요는 없다.

 

원주민 도시 법원(Native Urban Court)에서도 비슷한 과정이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곳은 지역 자문위원회와는 달리, 행동이 요구되는 현실적인 상황에 더 직면해야 하며, 부족 고유성이 실질적인 현실에 의해 조정된다. 순수한 Ngoni 원주민 법원에서는 전통 관습에 대한 호소가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행정 명령에 의해 법원은 부족의 관습을 따라야 하며, 사람들도 법원이 이러한 방식으로 운영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법원은 끊임없이 새로운 상황에 직면해야 하고, 전례 없는 결정들을 내려야 한다. 이러한 결정은 잊혀졌던 Ngoni의 훌륭한 관습을 주목하게 한다는 명목 아래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한 남자가 법정을 찾아와 자신이 항상 아내와 다투고 있으며, 이혼을 원한다고 말했다. 배심원단은 이혼을 승인했고, 여성에게 30실링의 손해 배상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이에 피고는 항의했다. 그 어느 젊은 배심원(약 25세)은 "이 법원에서는 아내와 이혼하는 남성에게 항상 30실링 배상금을 부과하는 것이 관습인 줄 몰랐습니까?"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것은 비교적 최근의 관행이었고, 피고의 항의는 정당해 보였다. 이 젊은 배심원은 법원에서 일한 지 겨우 18개월밖에 되지 않았다.

행정적 자극이 없더라도, Ngoni들 사이에서 의도적인 입법 행위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는 상당한 논의, 그리고 아마도 부족 회의를 필요로 한다. 앞에서의 젊은 배심원 같은 법원의 초보 구성원에게는, 새로운 규칙을 도입할 때 부족 관습이라는 비문서화된 전통적 기반에 호소하는 것이 더 쉬워보인다. 우리의 사회에서도 유사한 과정(analagous proces)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판사들이 법을 만들지 않는다는 허구(fiction) 속에 숨겨져 있을 가능성이 있다.

Ngoni는 법정에서 특정한 선례를 인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비문서화된 환경에서 새로운 결정들이 즉각적으로 문제 제기를 받지 않는다면, 이는 점차 '아득한 옛날부터 존재해왔던 관습'으로 여겨지게 된다.

 

따라서 요약하자면, 과거에 대한 공통된 개념 축적(common store of notions)은 ―비슷한 집단들 사이에서 Ngoni의 문화적 구별(cultural distinctions)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시기에― 자신들을 구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법정에서는 새로운 판결을 받아들이기 위해 전통 관습의 가치(value of traditional custom)를 호소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관습의 위반(breaches of custom)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해 비난하지 않는다.

 

부족 내 특정 그룹과 관련된 전설을 살펴보면, 상황은 약간 다르게 나타난다. 인구 내 분리된 그룹들은 과거에 있었던 특정 사건들을 기억하며, 때로는 이 사건들에 따라 행동한다. 이러한 사건들은 그들을 다른 유사한 그룹들과 연결 짓는다. 예를 들어, 마을 A와 마을 B는 과거에 A의 지도자가 B의 지도자를 사로잡았던 사건, 또는 한때 A와 B의 지도자가 형제였던 이유로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사건들과 현재 그와 관련된 집단 간 관계는 보편적으로 알려진 것이 아니라, 관련된 그룹들과 그 근처 사람들만이 알고 있다.

그러나 여러 면에서 이러한 사건들은 널리 알려진 부족 역사보다 더 실질적으로 중요하다. 이 사건들로 인해 생긴 혹은 지속된 관계들(relation­ships)은 장례식, 공식적인 맥주 교환, 갈등의 해결 같은 순간에 되살아난다. 표면적으로는 이러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강제적 규제가 없어 보이며, 사실 A와 B 두 마을의 분리된 존재 자체가 다툼과 그로 인한 분열의 결과일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어 A에서 한 노파가 사망했을 때, B로 소식을 전할 전달자를 강제로 보낼 방법은 없지만, 사실상 양쪽 그룹이 서로의 연계를 유지하기 위해 사회적인 압력을 받고 있다. 이는 평화를 유지해야 한다는, 즉 기존의 사회 질서를 온전히 보존해야 한다는 공통된 책임(general responsibility)에서 비롯된다. 만약 마을 내에서 다툼이 발생한다면, 추장은 구성원을 잘 통제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이장(headman)을 비난한다.

 

모든 분쟁은 가능하면 법정 밖에서 해결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이후 법정으로 회부되더라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마을 A에서 발생한 다툼(quarrel)은 A와 다른 마을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모든 동맹과 갈등 요인을 드러낸다. A의 이장은 A와의 역사적 사건을 소환하며 B에게 지지를 요청하고, B의 승인이라는 권위를 등에 업고 마을 내 문제를 해결하길 희망한다.

왜냐하면 B의 이장은 잠재적인 동맹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잠재적인 경쟁자일 수도 있으며, A 내의 반대파는 스스로 B와의 연계를 활용하여 그에게 충성을 옮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A와 B의 관계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의 세부 사항이 널리 알려지지 않았더라도, 그들 사이의 관계를 유지(maintain)하려는 상당한 외부적인 압력이 존재한다.

이런 종류의 연계는 주로 마을 간에 형성되지만, 때로는 추장 영역(chiefdoms) 간에도 형성되어, 근래 Ngoni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남자들은 이러한 연계에 응답하여 20마일을 걸어 장례식에 참석하고, 여성들은 하루 종일 맥주 항아리를 나르며 이를 실천한다.

 

이처럼 우리는 한편으로는 부족 전설(tribal legends)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정복 이전 시대와 관련돼 있지만,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집단 간 관계와 관련된 전설(legends associated with inter-group relations)은 해당 그룹들만 알고 있으며, 1898년 이전 또는 그 이후와 관련될 수 있고,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왜 이러한 차이가 있을까? 전자는 주로 외부 관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후자는 내부 관계에서 그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족 내, 특히 소규모 추장 영역 내에서는 집단 간 관계가 여전히 주로 Ngoni들 스스로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1898년 이후 그 형태와 내용이 얼마나 변했든지 간에, 그리고 Ngoni가 더 넓은 체계의 일부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다. 마을 간 이동은 행정당국에 의해 약간만 통제되며, 분쟁, 결혼과 간통, 맥주 마시기와 공동 노동 같은 일들에서 Ngoni 남성과 여성은 그들 스스로 동맹과 적을 선택한다.

현실의 사건들은 집단 간 관계를 형성하고, 이후 이를 유지하기 위해 소환된다. 역사는 책이 아니라 집단의 이름들과 그 사이의 기억된 연결 속에서 쓰여진다. 또한, 이러한 관계가 점차 변화함에 따라 지역의 전설적 역사는 점진적으로 다시 쓰이게 된다.

 

외부 관계에서는 Ngoni가 유럽 통치 하의 제도적 틀 안에서만 부족으로서 행동하며, 그 외에는 부족으로서 행동하지 않는다. 이제는 지역 자문위원회에서 Ngoni와 Cewa의 대표들이 함께 앉아 있는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기원 신화 같은 걸 드러낼 필요는 없다. 이는 행정당국이 그들을 그 자리에 앉혔기 때문이다.

외부 관계의 세계는 문화적 이질성과 비교적 적절한 문서 기록이 존재하는 세계이다. 이 분야에서 전설은 제한적인 사회적 기능만을 가진다. 전설은 부족 X와 부족 Y를 구별하기는 하지만, 이들 간의 관계를 연결하지는 못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Ngoni의 본격적인 역사에 대해 살펴봐야 한다. 유럽과 남아프리카에서 Ngoni의 역사에 대한 많은 주장된 기록들이 출간되었지만, 이러한 기록들은 Fort Jameson Ngoni에게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몇몇 역사가 방언으로 출판되었고, 부족 역사가 초등학교에서 가르치는 과목으로 등장했다. 이것들은 나이 든 Ngoni 남성과 여성들의 회상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현대 문서(contemporary documents)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따라서 우리는 이를 본격적인 역사(proper histories)라기보다는 쓰여진 전설(written legends)로 간주해야 한다.

한 버전과 다른 버전 간의 차이는 정보를 제공한 사람들의 정치적 소속 차이와 관련된 경우가 종종 있다.[6] 1821~1898년 동안은 상세히 다루어지고 있지만, 그 이후 50년은 몇 줄로 간략히 다뤄진다. 따라서 시간이 지나면서 부족 전설이 고착화되거나, 적어도 널리 알려진 하나의 버전이 존재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방언 텍스트는 학교 언어인 Nyanja로 작성되어 있으며, 이는 아직 마을에서 통용되는 언어인 Nsenga와 동일하지 않다. 학생들은 주로 앵무새처럼 암기하며 배우는데, 때로는 이해되지 않는 단어들조차 포함된 상태로 학습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배운 내용이 교실 밖 실생활로 어느 정도 이어질지는 여전히 두고 봐야 한다.

 

근대적 삶에서 문서화가 증가하면서 전설의 시대가 끝나고 Ngoni의 본격적인 역사가 시작되기를 기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실은 그렇지 않다. 부족 문제에 관해 1890~1898년 동안 무슨 일이 있었는지를 현대 문서를 통해 알아보는 것은 비교적 쉽지만, 영국 통치가 시작되면서 마치 커튼이 내려진 것처럼 되어버렸다. 공식 보고서는 해가 갈수록 점점 더 짧아졌는데, 기록할 내용이 점점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영국 남아프리카 회사(British South Africa Company)의 통치 말기로 가면, Ngoni 삶에 대한 공개된 정보는 북로디지아(Northern Rhodesia) 전체를 다루는 연례 보고서에서 "원주민들의 행동이 만족스러웠다"라는 한 줄로 요약되는 수준이었다. 1924년에 식민지 사무소(Colonial Office)의 통제가 시작되면서 보고서는 다시 길어졌지만, 이러한 보고서들은 Ngoni 부족의 역사가 아니라 동부 지역과 북로디지아의 역사를 다루었다.

이 더 큰 지역들이 정부의 중요한 단위가 되었고, 개별 부족이나 추장 영역은 포함되지 않았다. Fort Jameson Ngoni는 점점 더 넓은 사회와 긴밀히 통합되었으며, 그들만의 독립적인 역사는 점점 사라져갔다. Ngoni가 역사를 만들어갈 때, 그들에겐 기록할 방법이 없었다. 이제는 기록할 수단이 가능해졌지만, 그들에겐 기록할 역사가 없어졌다.

 

우리는 이 전환기 사회(transitional society)에서 내부·외부 관계 그리고 기술적 역량 수준이 과거와 관계를 맺는 방식 그리고 쓰여진 역사의 시기와 내용을 동시에 좌우한다는 걸 확인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A Durban Man",  Deare, Major George Russel.

"Eighteen months with the last of the slave raiders", Natal Weekend Advertiser, 1929.4.6.~5.11.(Page reference to typescript in Central African Archives).

Evans-Pritchard, E. E., 1950, "Social Anthropology: Past and Present: The Marett lecture, 1950", Man, 1: 198.

Read, Margaret, 1936, "Tradition and prestige among the Ngoni", Africa, 9: 453~484. 

Wiese, Carl, 1900, "Beitrage zur Geschichte der Zulu im Norden des Zambesi. namentlich der Angoni", Zeitschrift fur Ethnologie, 32: 181~201.

Winterbottom, J.M., 1950, "Outline histories of two of two Northern Rhodesian tribes", Rhodes-Livingstone Journal, 98: 14~25.

 

 

 

미주

[1] 1950년 9월 1일, 영국 버밍엄에서 열린 영국 과학진흥협회(British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H 섹션에서 발표된 글이다. 이 글은 또한 학술지 Human Relations에 "다원 사회에서의 역사 인식: 북로디지아의 한 Ngoni 그룹 연구(The Perception of History in a Plural Society: A Study of an Ngoni Group in Northern Rhodesia)"라는 제목으로 게재될 예정이다.

[2] cf. Evans-Pritchard, "Marett lecture", p. 121.

[3] 나는 1946년에서 1949년 사이에 Rhodes-Livingstone Institute 직원으로 있는 동안 이들과 함께 일했다.

[4] Wiese, "Geschichte", pp. 200f.

[5] 이후, 그가 Zululand의 지리학에 관한 질문에 만족스럽게 대답했을 때, Mpezeni가 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는 추장이다. 그는 Angoni이며 우리 중 하나다". Deare, "Slave raiders", pp. 19 & 25.

[6] Read와 Winterbottom, 북부 Nyasaland의 정보 제공자들은 그들의 최고 추장이 Zwangendaba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Fort Jameson의 정보 제공자들은 그들의 추장이 그 후손이라고 말한다고 지적했다.
cf. Read, "Tradition and Prestige", p. 467; Winterbottom, "Outline Histories", p. 17.

 

번역 송준규

댓글